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경기도 3대 시장 완전 정복 (안양 중앙시장, 성남 모란시장, 부천 자유시장)

by 시장 상인 다복 2025. 7. 25.

경기도 안양시 소재 안양 중앙시장 관련 이미지

수도권에 남은 진짜 장터, 어디까지 가보셨나요?

  서울에서 전통시장을 찾기란 이제 그리 쉬운 일이 아닙니다. 대형 마트와 쇼핑몰이 일상을 대체한 지금, 전통시장은 점점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수도권 내에는 여전히 지역 경제를 이끄는 핵심 전통 시장들이 살아 있습니다. 바로 안양 중앙시장, 성남 모란시장, 부천 자유시장이 대표적입니다. 이 세 시장은 단순한 유통 공간을 넘어, 도시 속 생활 기반 상권으로서 여전히 활발히 기능하며 각 지방자치단체의 현대화·정비 사업 대상지로 꾸준히 지원받고 있는 곳들이기도 합니다.

안양 중앙시장 – 도심형 재래 시장의 모범 사례

안양 중앙시장은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로에 위치하며, 1970년대 초반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지금까지 50여 년의 역사를 자랑합니다. 현재는 300개 이상의 점포가 입점해 있으며, 인근의 안양1번가와 연결돼 안양역 인근 상권과 자연스럽게 연계됩니다. 안양시는 이 시장을 대상으로 전통 시장 활성화 종합계획을 추진하며, 아케이드 개선, 간판 정비, 상인 교육, 전기·소방 시설 개보수 등 시설 현대화를 완료했습니다. 특히 시장 내 일부 구역은 청년 점포 유치 공간으로 운영되고 있어, 젊은 창업자들의 입점 사례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취급 품목은 생필품·식자재·반찬류·잡화·소형가전·의류 등 다양하며, 시장 외곽에는 전통 분식점, 칼국수집, 수제 어묵집 등 소규모 식당이 밀집해 먹거리 골목 역할도 톡톡히 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안양 중앙시장은 역 접근성도심 중심 입지라는 장점을 바탕으로 매일 일정한 유동 인구를 확보하고 있으며, 지역 소비 기반을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운영 중인 시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성남 모란시장 – 경기도 대표 장날 중심지

  성남 모란시장은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일대에 위치한 경기도 대표 5일장 시장입니다. 이곳의 가장 큰 특징은 정기적으로 열리는 장날입니다. 매월 4일, 9일, 14일, 19일, 24일, 29일 등으로 구성된 장날에는 성남은 물론 인근 지역 상인, 방문객들로 북새통을 이룹니다.

  시장 내 등록 점포 수는 1,000곳 이상으로, 상설 상점과 더불어 장날에는 임시 노점상 200여 곳 이상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경기도 내에서도 가장 복합적이고 역동적인 시장 중 하나로 꼽힙니다. 판매 품목도 농수산물, 건어물, 의류, 잡화, 생축산물, 약초, 공구, 생활용품 등 무척 다양합니다.
  또한 특이하게 애완동물·조류 관련 상점도 있어 일부 방문객에게는 이색적인 장소로 인식됩니다. 모란시장은 과거 동물 도축 관련 이슈로 논란이 된 바 있으나, 지방자치단체의 지속적인 단속과 정비를 통해 위생·법률 기준 강화 조치가 시행되었고, 현재는 대부분의 축산물 유통이 위생 기준에 부합하도록 합법적으로 이뤄지는 구조로 전환되었습니다.

  또한 성남시는 이 시장을 중심으로 노후 아케이드 개보수, 공영주차장 확보, 노점 정비 계획 등을 수립하며 중앙정부와의 협력을 통해 지속적인 현대화를 추진 중입니다.

부천 자유시장 – 주민 밀착형 생활 시장의 본보기

부천 자유시장은 부천역 도보 3분 거리에 위치한 대표적인 상설 시장으로, 1970년대 중반 형성 이후 지금까지 약 200여 개 점포가 등록돼 있습니다. 소규모이지만 생활 밀착형 소비 중심지로 자리잡고 있어 부천시 원도심 상권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주요 판매 품목은 채소, 과일, 생선, 반찬, 조미료, 생활잡화, 의류 등 실생활에 필요한 전 품목입니다. 특히 이곳은 반찬류와 건어물, 조미료, 김치류 특화 구역이 밀집해 있어, 단골 손님들의 재구매율이 높은 시장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부천시는 자유시장을 대상으로 전통 시장 시설 현대화 사업을 실시했으며, 아케이드 지붕 교체, 전기 설비 보완, LED 간판 교체 등 물리적 환경 정비를 지속해 왔습니다.
  또한 일부 청년 상점 유치와 SNS 홍보 연계 프로젝트도 진행 중이며, 지역 문화센터와 연계된 ‘시장 문화의 날’ 행사 등도 정기적으로 개최됩니다.

  자유시장은 규모는 작지만 회전율이 높고 상인–고객 간 신뢰 기반이 튼튼한 시장으로 평가되며, 도심 내 실속형 전통시장 모델의 예로 자주 언급됩니다.

사라지지 않는 장터, 변화하는 전통 시장

  전통 시장에 대한 시선은 바뀌고 있습니다. 불편하고 낡은 공간이라는 인식은 점차 사라지고, 합리적 가격, 신선한 식재료, 사람 간의 정서적 연결이 살아 있는 공간으로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안양 중앙시장은 도심 중심의 상권 회복 모델, 성남 모란시장은 장날 문화의 유산이자 지역 경제 허브, 부천 자유시장은 생활 소비자 중심의 소형 시장 모델로서 각기 다른 강점을 갖고 있습니다.

  지금은 시장이 단순한 장보기 공간이 아니라, 도시와 사람을 연결하는 플랫폼이 되고 있는 시기입니다. 편의성만 좇는 소비보다, 한 번쯤은 정겨운 골목을 걸으며 지역의 속살을 마주해보는 경험. 이번 주말, 수도권 관내 가까운 시장 한 바퀴로 시작해보는 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