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울 여름 전통시장의 현재성 (광장시장, 방학동 도깨비시장, 밤도깨비야시장)

by 시장 상인 다복 2025. 7. 25.

서울 종로구 소재 광장시장 관련 이미지

 

  여름의 서울은 무더위와 습기로 삶이 축 늘어지기 쉽지만, 전통시장들은 그 열기 속에서도 고유한 활력을 지켜 냅니다. 낮의 더위를 피한 저녁부터 밤이 지나기까지, 시장은 단순한 장터를 넘어 먹거리·문화·소통의 복합 공간으로 기능합니다. 특히 서울 종로구의 광장시장, 도봉구의 방학동 도깨비시장, 그리고 서울시가 운영하는 서울밤도깨비야시장은 각기 다른 콘셉트와 운영 방식을 통해 여름철에도 방문할 가치를 제공하는 대표 사례입니다.

광장시장 — 역사를 품은 먹거리 중심지

  광장시장은 1904년 개장해 오랜 역사와 전통을 지닌 서울 대표 전통시장입니다. 최근 들어 외국인 관광객 방문이 지속 증가 중이며, 일부 보도에 따르면 전체 방문객의 상당 부분이 외국인이라는 평가도 있습니다 (조선일보, 2024; 비즈한국, 2025). 이 시장의 먹거리 골목은 여름밤 방문객에게 가장 강렬한 인상을 남깁니다. 대표 메뉴로는 육회, 빈대떡, 녹두전, 칼국수, 만두 등이 있으며, 그중 육회는 계란 노른자와 배, 마늘쫑, 무순 등을 곁들여 제공되는 형태가 일반적입니다. 최근에는 일부 노포들이 영어·중국어 메뉴판을 비치하거나 QR 메뉴판을 도입하며 외국인 수요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5년 6월 기준 광장시장 내 스타벅스 광장마켓점이 오픈하며, 전통과 현대의 결합을 시도하는 변화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서울미디어허브, 2025). 광장시장은 먹거리 중심성 + 역사성 + 관광 동선 연계성이 복합적으로 작동하는 공간입니다.

방학동 도깨비시장 — 지역 기반과 체험 요소 병합

  도봉구 방학동에 자리한 방학동 도깨비시장은 규모는 크지 않지만, 지역 주민 중심 운영체험 콘텐츠 결합으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여름철에는 간식 중심 메뉴들이 주를 이루며, 닭강정, 수제 튀김, 비빔국수, 떡 등이 부담 없는 가격대로 공급됩니다. 일부 점포에서는 떡을 1,000원대에 판매하는 경우도 발견되어 가성비 전략이 시장 운영의 핵심이 됩니다. 특히 이 시장은 어린이 놀이터 공간인 ‘도깨비 다락방’을 마련해 보육교사를 상주시켜 운영함으로써 가족 단위 방문객이 안심하고 머물도록 설계되었습니다. Visit Seoul 관광안내에 따르면 현재 이 시장에는 약 87개 점포와 13개 노점이 운영되고 있으며, 환경 개선 노력과 가격 경쟁력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시장 앞에 조성된 방학천 산책로는 장보기와 여름 저녁 산책 동선을 자연스럽게 연결해 주며, 방문객의 체류 시간을 늘리는 역할을 합니다.

서울밤도깨비야시장 — 밤의 도시를 무대로 한 플랫폼

  서울밤도깨비야시장은 2025년 기준 4월 5일부터 10월 27일까지, 매주 금·토·일 운영되는 대표 야간 시장입니다 (브런치, 2025). 운영지는 주로 여의도 한강공원, 반포 한강공원, 청계천, 동대문 DDP 등이며, 각 장소는 주제별 콘셉트를 적용합니다. 야시장에서는 푸드트럭을 중심으로 한 먹거리 부스가 주를 이루며, 메뉴는 꼬치구이, 파스타, 빙수, 소떡소떡 등 다양합니다. 또한 핸드메이드 굿즈, 수공예품 판매 부스, 플리마켓 형태 상품들이 병행 전시되어 쇼핑 콘텐츠가 풍부합니다. 메인 무대 옆에서는 버스킹, 퍼포먼스, 마술쇼 등이 펼쳐지고, 방문객이 돗자리를 펴고 공연을 관람하는 광경은 이 야시장만의 경험 공간을 형성합니다. 서울밤도깨비야시장 측은 각 시장별로 ‘글로벌’, ‘청춘’, ‘야경’ 등의 주제 콘셉트를 적용해 참여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서울사랑, 2025). 이 야시장은 단순한 먹거리 공간을 넘어 도심 여름밤을 무대로 한 복합 문화 플랫폼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습니다.

여름철 서울 시장의 지속 가능한 가치

  광장시장의 먹거리 중심성과 역사성, 방학동 도깨비시장의 지역 밀착성과 체험성, 서울밤도깨비야시장의 공간 확장성과 문화 플랫폼성이 각기 다른 방식으로 여름철 방문 가치를 만들어 냅니다. 이들 시장은 단순히 관광객 감성을 위한 장소가 아니라 실제 소비 기반과 문화 콘텐츠가 결합된 현대적 전통시장 모델입니다. 여름밤 서울을 기억하게 만드는 공간들이자, 시장 기능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올여름, 더위를 피해 시원한 실내 대신 시장 골목을 거닐며 음식을 먹고 공연을 보고 사람과 교류하는 경험은, 서울이라는 도시를 다른 감각으로 느끼게 해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