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장과 골목, 함께 살아나는 상권
전통시장은 오랜 세월 동안 지역 경제의 뿌리 역할을 담당해 왔습니다. 그러나 현대 소비 환경이 빠르게 변하면서 시장만으로는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모두 충족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시장과 인근 골목상권을 결합하여 새로운 상생 구조를 만드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소비자는 전통시장에서 신선한 먹거리와 생활 필수품을 구매한 후, 골목길의 카페나 음식점, 로컬 브랜드 매장에서 여가와 체험을 즐기는 패턴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단순히 개별 점포의 매출 상승을 넘어, 지역 전체의 상권을 하나의 복합문화 공간으로 발전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즉 시장과 골목이 서로의 단점을 보완하며 시너지를 창출하는 상권 모델로 자리 잡고 있는 것입니다.
상생 모델의 대표적 성공 사례
서울 망원시장은 시장과 골목길이 어우러져 만든 대표적인 상생 사례로 평가받습니다. 특히 ‘망리단길’이라는 별칭으로 불리는 인근 골목은 개성 있는 카페와 식당, 소규모 상점들이 밀집하며 하나의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했습니다. 시장에서 신선한 재료를 구매한 후 골목 상점에서 식사나 휴식을 즐기는 패턴이 고착되면서 망원시장은 단순한 장터가 아니라 복합 문화 상권으로 발전했습니다. 아시아경제(2019) 보도에 따르면 망리단길은 20~30대 방문객이 대폭 늘어나며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었다고 합니다. 또한 SEN TV(2022) 기사에서는 망리단길이 지역 창업자들의 테스트베드 역할을 하고, 망원시장과 함께 상권 전체의 경쟁력을 높이는 사례로 소개되었습니다. 이는 전통시장이 골목상권과 결합할 때 얼마나 큰 파급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입니다.
문화와 예술이 결합한 골목 상권
대구 방천시장은 예술과 문화가 결합하여 골목상권과 전통시장이 함께 성장한 사례로 자주 언급됩니다. 청년 예술가들이 방천시장 인근에 공방과 갤러리를 열면서, 시장은 단순한 장터를 넘어 문화예술촌으로 변신했습니다. 한국경제(2024)에 따르면 방천시장은 ‘대구의 문화 창조 거점’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영남일보(2025)는 방천시장 예술골목 축제가 매년 수만 명의 관광객을 끌어들이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시장 상인과 예술가들은 협력 관계를 맺어, 시장 방문객들이 예술을 경험하고, 예술 소비자들이 시장을 이용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냈습니다. 방천시장은 단순히 물건을 파는 장소를 넘어, 지역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문화적 플랫폼으로 발전하고 있는 것입니다.
로컬 브랜드와 협업을 통한 혁신
전통시장은 소규모 창업자와 로컬 브랜드에게 중요한 실험 무대 역할을 합니다. 새로운 상품이나 서비스를 시장의 풍부한 유동 인구 앞에 선보이고, 골목상권에서 브랜드 경험을 확장하는 방식이 가능합니다. 예컨대 부산의 한 로컬 맥주 브랜드는 부평깡통시장 인근 야시장과 협업하여 시장에서만 맛볼 수 있는 한정판 맥주를 출시한 바 있습니다. 이 시도는 젊은 세대의 호응을 얻으며 단기간에 매출을 높였고, 지역 브랜드가 정체성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또한 망원시장 인근에서는 로컬 디저트 브랜드와 전통시장의 재료가 결합된 공동 상품이 개발되어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협업은 단순히 상업적 성공을 넘어, 시장이 지역 창업 생태계의 중심지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결국 로컬 브랜드와 전통시장의 협력은 새로운 소비 경험을 창출하고, 지역 경제를 다각도로 확장하는 중요한 전략 자산이 되고 있습니다.
연결이 만드는 지역 경제의 미래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이 서로 연결될 때, 소비자의 체류 시간은 길어지고 상권 전체의 매출은 자연스럽게 증가합니다. 경북일보(2025)에 따르면 대구시는 골목경제권 조성사업을 추진하며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의 공동 브랜드 개발, 특화 거리 조성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은 단순히 경제적 성과뿐 아니라, 주민들의 자긍심과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는 효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추진하는 상권 르네상스 사업은 시장과 골목을 하나의 생활권으로 묶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전통시장은 신선한 먹거리와 공동체적 정서를 제공하고, 골목상권은 창의적이고 현대적인 문화를 제공하면서 서로를 보완하는 관계를 이어갈 것입니다. 이는 단순히 상권의 발전을 넘어 지역 전체가 함께 성장하는 지속 가능한 모델로 확립될 가능성이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