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채로운 광주 전통시장들 (양동시장, 대인시장, 송정역시장)
광주는 예향이라는 별칭처럼 문화적 전통이 깊은 도시로 알려져 있지만, 도시 곳곳에는 여전히 활력이 느껴지는 생활 현장이 살아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지역민의 삶을 지탱하고 도시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전통시장이 있습니다. 양동시장, 대인시장, 송정역시장(상설 점포 비중 높음)은 각각 도매 기능, 예술과 청년 문화, 지역 먹거리라는 상징적 요소를 통해 광주의 서로 다른 특성과 기능을 드러냅니다. 전통시장은 단순히 물건을 사고파는 공간을 넘어 경제, 문화, 관광이 교차하는 장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 세 곳은 그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도매와 소매가 공존하는 생활 기반, 양동시장 광주 서구에 위치한 양동시장은 1910년대 광주천 백사장에서 열린 장터가 모태가 되어 형성된 이후 현재까지 지역 최대 규모..
2025. 7. 26.
서울 강북의 세 전통시장, 소비와 문화가 교차하는 현장 (남대문시장, 통인시장, 신당시장)
서울 도심 속 시장이 보여주는 다층적 기능 서울 강북은 대형 유통망과 현대식 상업 공간이 집중된 지역이지만, 여전히 전통시장은 도심 생활의 일부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이들 시장은 단순히 과거의 흔적이 아니라, 현재의 소비와 문화, 관광과 생활을 동시에 지탱하는 복합 공간으로 작동합니다. 특히 중구와 종로 일대에 자리한 남대문시장, 통인시장, 신당시장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서울의 일상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남대문시장은 국내외 소비자를 연결하는 유통 허브, 통인시장은 체험형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관광 자원, 신당시장은 음식 문화를 대표하는 먹거리 집적지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처럼 시장별로 특화된 역할은 전통시장이 여전히 현대 도시에서 실질적인 효용성을 갖고 있음을 잘 보여줍니다.남대문시장: 국내 최대 ..
2025. 7. 26.
수도권 전통시장의 현재와 미래 (안양 중앙시장, 성남 모란시장, 부천 자유시장)
변화 속에서도 자리를 지켜온 도시형 장터 대형마트와 온라인 쇼핑이 소비 문화를 주도하는 시대라 해도, 전통시장은 여전히 도시 생활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다만 과거처럼 단순한 장보기 공간에 머물지 않고, 현대화 사업과 지역 특화 전략을 통해 변화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경기도 안양 중앙시장, 성남 모란시장, 부천 자유시장은 그 대표적 사례로, 각각 도심형 생활 상권, 장날 중심 대규모 장터, 생활 밀착형 소형 시장이라는 모델을 보여주며 수도권 전통시장의 다양성과 가능성을 증명하고 있습니다.안양 중앙시장: 도심형 생활 상권과 청년 창업의 무대 안양 중앙시장은 1970년대 초반 자연 발생적으로 형성된 이후 지금까지 반세기 넘게 이어진 시장입니다. 약 300여 개의 점포가 입점해 있으며, 안양..
2025. 7. 25.
수원 통닭거리, 가마솥 기름 향에 담긴 수원의 시간 (통닭, 시장, 가족 나들이)
골목이 품은 50년의 역사 수원 통닭거리는 팔달문시장 인근 좁은 골목에 형성된 약 100m 길이의 특화 먹거리 골목으로, 1970년대 중반부터 자연스럽게 조성되었습니다. 당시에는 치킨이라는 명칭보다는 ‘통닭’이 보편적이었으며, 시장 한켠에서 솥뚜껑에 닭을 통째로 튀겨내는 방식이 인기를 얻으면서 가게들이 하나둘 늘어나 골목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지금은 약 10여 개의 통닭 전문점이 영업 중이며, 그중에서도 진미통닭, 용성통닭, 남문통닭, 장안통닭 등은 수원 시민과 관광객들에게 꾸준히 사랑받고 있습니다. 이 거리의 특징은 가게마다 비슷하면서도 다른 방식으로 가마솥 기름을 활용해 닭을 튀겨내는 점입니다. 대부분의 가게는 기름을 매일 교체하고, 높은 온도를 유지하여 기름 냄새 없이 담백하고 바삭한 식감..
2025. 7. 25.